민생회복 지원금

민생회복지원금 × 고양페이(지역화폐) 한눈에 가이드

‘민생회복지원금(소비쿠폰)’ 수원페이 한눈에 가이드

‘고양 시민이라면 꼭 알아둘 👀
지원금 자체만 필요하면 고양페이도 OK,
‘할인’을 원한다면 추경 이후 충전하거나 당장은 카드 캐시백을 고려

민생회복지원금이란?

복지로·카드사 앱·지자체 사이트에서 7 월 15 일부터 ‘자격 조회 → 수령 방식 선택’만 하면, 7 월 22 일부터 최대 50 만원이 현금·캐시백·지역상품권 중 원하는 형태로 지급됩니다!

✔︎ 지급 대상 : 전 국민 (소득 상위 10 %는 15 만원·일반 25 만원·차상위 40 만원·기초수급 50 만원)
✔︎ 지급 방식 : ① 현금 계좌이체 ② 카드 캐시백(6대 카드사) ③ 지역사랑상품권 3택1
✔︎ 사용 기한 : 2026 년 1 월 31 일 자정까지 (미사용분 소멸)

TIP : 1차는 내 통장·카드 포인트로 자동 들어오니 “언제 들어오지?” 걱정 No! 2차만 온라인 신청을 챙기면 됩니다.

📅

🌏 신청 화면 - 빠른 길잡이 (모바일)

✔️ 경기지역화폐 봄·가을 시·군별 10 % 프로모션(수원시 포함)

①경기지역화폐 앱 실행 → 메인 배너 〈민생회복지원금〉

② 지급액 확인 → ‘고양페이로 수령’ 선택

③ 오픈뱅킹 계좌 지정 → 즉시 충전 + 10 % 캐시백 PUSH 수신

④ QR·NFC·고양페이 카드로 결제


TIP : 오프라인 창구(농협·하나·신한 고양지점)에서도 신청·충전 가능.

1. 수원페이로 받으면 ‘실질 구매력’은?

• 소득 구간 상위 10% : 16.5 만원
• 소득 구간 일반(중위50%) : 27.5 만원
• 소득 구간 차상위·한부모 : 44 만원
• 소득 구간 기초생활수급 : 55 만원

TIP : 봄·가을 경기지역화폐 특별 프로모션(10 %)이 겹치면 캐시백이 두 번 적립돼 체감 할인폭이 더 높아집니다.

2. 신청 → 지급 로드맵

① 자격·금액 조회 : 7 / 15(화)~ 에 주민 번호 인증
② 수령 방식 선택 : 7 / 15 – 7 / 21에 현금 / 카드 / 고양페이 중 택1
③ 1차 지급 : 7 / 22일에 선택 방식 자동 입금·충전
④ 2차 지급 : 8 월 초에 차상위·기초층 추가 충전
⑤ 사용 기한 : 2026-01-31일 이후 잔액 소멸

TIP : 2024 년 건강보험료 기준. 최종 금액·일정은 6 월 19 일 국무회의에 상정되는 2차 추경 확정 고시에서 확인.

3. 고양에서 고를 수 있는 3가지 수령 방식

① 현금 계좌이체 : 세대주 계좌로 1·2차 자동 입금
② 카드 캐시백 : 6대 카드사 앱 → 24 h 이내 충전, 전국 오프라인 사용
③ 지역화폐 ‘고양페이’ : 지원금이 충전돼 QR·NFC·카드 결제

작년 5 월~12 월엔 7 % · 월 20 만 원 한도로 운영했던 전례가 있어, **추경이 통과되면 동일 조건(7 %, 20 만 원)**이 유력합니다.

📋 자주 묻는 질문(FAQ)

Q1. 할인 없는 고양페이를 선택할 이유가 있나요?
A. 고양시에만 소비한다면 카드보다 소득공제 30 %(현금영수증 대체) 효과.

Q2. 현금으로 신청했다가 고양페이로 바꿀 수 있나요?
A. 1차 지급 D-3 영업일 전까지 ‘신청 취소 → 재선택’ 가능. 이후 변경 불가.

Q3. 서울·파주에서도 결제되나요?
A. 불가. 고양시 가맹점 전용입니다. 타지역 소비가 많다면 카드 캐시백 추천.

Q4. 잔액 환불?
A. 지원금·인센티브는 환불 불가. 개인 충전분은 60 % 이상 사용 시 환불 신청 가능.